버스는 하루에도 수십만 명이 이용하는 가장 대중적인 교통수단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만큼 지속적으로 안전사고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많이 일어나는 버스 안전사고를 유형별로 소개하고, 이 사고들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버스 기사 폭행 사고
버스 기사 폭행 사고는 버스가 도입된 이후로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유발되어온 버스 안전사고 중 하나입니다. 버스 기사 폭행은 탑승객 전체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만큼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가법)에 일반 폭행죄보다 높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무거운 처벌에도 불구하고 불과 2주 전인 6월 29일에도 버스 기사 폭행 사건이 일어날 정도로 지속적으로 사고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버스 승객 안전 사고
여러분 버스를 탔을 때 아직 자리에 앉지 않았는데 버스가 갑자기 출발해서 넘어질 뻔했다거나, 사람이 꽉 찬 만원 버스에서 기사님이 버스를 너무 과격하게 운전해서 다칠 뻔했던 경험 한 번쯤은 있으시죠? 이런 버스의 급출발, 급정지, 난폭운전은 일상에서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장면 중 하나입니다. 이런 난폭 운전이 일어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대표적으로는 다음 네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과도한 운행 시간과 촉박한 배차 간격
2. 성과 중심의 임금 체계
3. 운전 외 업무 과다 (승객 응대, 민원 처리 등)
4. 짧은 휴식 시간과 피로 누적
이처럼 버스 기사들은 위와 같은 이유로 버스를 난폭하게 운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승객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이니 만큼 모종의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버스 안전 문제 해결 방안
지속적으로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버스 기사 폭행 사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운전석 보호 격벽 설치 의무화가 있습니다. CCTV 설치 또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폭행 상황에 처한 운전자가 쉽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비상 호출 버튼을 도입하여 기사가 버튼을 누르면 GPS 기반으로 버스를 추적하여 경찰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버스 승객 안전사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배차 간격 개선 및 운행 시간 여유 확보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버스 기사가 과격하게 운전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해결하여 버스 승객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상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안전운전 인센티브 제도 도입을 통해 버스 기사가 안전하게 운전하도록 하는 유인을 추가하여 승객의 안전을 지킬 수 있습니다.